잡동사니 자료
[스크랩] 남아프리카공화국
undertree
2007. 11. 1. 07:25
![]() |
국 명 : 남아프리카공화국[Republic of South Africa(RSA)] | |
![]() |
위 치 : 아프리카대륙 최남단 | |
![]() |
면 적 : 1,219,090㎢(한반도의 5.5배, 남한 면적의 약 12배) | |
![]() |
인 구 : 4,482만 명(2003년) | |
![]() |
인종구성 : 흑인 79%, 3,500만 명, 백인 9.6%, 430만 명(60%가 화란계인 Afrikaner), 혈인 8.9%, 398만 명, 아시아 2.5%, 112만 명 | |
![]() |
언 어 : 아프리칸스(Afrikaans), Zulu어, Xhosa(코사)어, Sotho어, Tswana(스와나)어, Pedi어, Ndebele(은데벨레)어, Tsonga(쏭가)어, Swati어, Venda어 11개 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으며, 영어, 아프리칸스,Zulu어, Xhosa어, Pedi어, Sotho어가 주사용 언어임. * 백인 중 1/3은 영어, 2/3는 아프리칸스를 주로 사용하는 국민 중 약 20%는 영어로 소통 가능. 단, 대도시 거주 국민은 대부분 영어 소통 | |
![]() |
국가형태 : 입헌공화국 | |
![]() |
정부형태 : 내각책임제를 가미한 대통령중심제 | |
![]() |
국가원수 : 대통령(Thabo Mbeki : 2004.4 취임) | |
![]() |
의회(양원제) : 하원(National Assembly) 400명과 상원(National Council of Provinces)90명으로 구성 | |
![]() |
사 법 부 : 헌법재판소, 최고법원, 고등법원, 지방법원으로 구성 | |
![]() |
독 립 일 : 1910.5.31(영국으로부터 독립) | |
![]() |
국 경 일 : 4.27(Freedom Day, 1994.4.27 흑인정부수립 기념일) | |
![]() |
수 도 : 행정수도 : Pretoria 입법수도 : Cape Town 사법수도 : Bloemfontein | |
![]() |
지역구분 : 9개주(Mpumalanga, Gauteng, Northern Province, North West, Kwazulu Natal, Free State, Western Cape, Eastern Cape, Northern Cape)로 구분. 각 주는 독자적인 법률, 의회, 행정기구를 가지고 있음. (의료, 건설, 교육 등을 독자적으로 운영) | |
![]() |
주요도시 : Cape Town(268만 명), Durban(235만 명), Johannesburg (380만 명), Pretoria(160만 명), Port Elizabeth(83만 명), Bloemfontein(37만 명), Kimberley(17만 명), East London(24만 명) | |
![]() |
G. D. P : US$ 1,601억(2003년) | |
![]() |
1인당GDP : US$ 3,503(2003년 | |
![]() |
세 입 : 7,685백만 Rand(2003년) | |
![]() |
세 출 : 83,054백만 Rand(2003년) | |
![]() |
통 화 : Rand(1Rand = 100Cent) | |
![]() |
환율(2004.10) : US$ 1 = 6.4Rand | |
![]() |
수 출 : US$ 387억(2003년) | |
![]() |
수 입 : US$ 350억(2003년) | |
![]() |
주요수출국 : 미국, 영국, 일본, 독일 | |
![]() |
주요수입국 : 독일, 미국, 영국, 중국 | |
![]() |
주요수출품 : 금, 석탄, 다이아몬드, 석유, 비금속 및 동제품, 농산물 | |
![]() |
주요수입품 : 기계류, 전기 기기, 화학제품, 운송 기기류 | |
![]() |
종 교 : 대부분이 기독교(신교 및 각 종파)이며, 기타 소수 의교, 유태교, 힌두교 및 토착 종교 (국교 : 없음) | |
![]() |
외교관계 : 인종차별로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왔으나 94.5이후 대부분의 국가와 외교관계 수립 | |
![]() |
문 맹 률 : 18%, 백인 문맹자 거의 없음. | |
![]() |
군 사 력 : 총 병력 수는 60,000명 육 군 : 42,500명 해 군 : 5,200명 공 군 : 9,600명 의무군 : 5,500명 국 방 비 : US$ 19억(2004년) | |
![]() |
2 . 지 세 |
![]() |
![]() |
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(남위 220-350, 동위 170-330)에 위치하고 동쪽으로 인도양, 서쪽으로 대서양을 낀 동고서저 지형을 가진 천혜의자원 부국임. | |
![]() |
고원지대로 된 좁은 해안대(Coastal Belt)로 구성. 고원 동쪽으로 드라켄스버그 산맥이 솟아 있음. 주요 강으로는 오렌지강, 림포포강, 카이강이 있음. | |
![]() |
3 . 기 후 |
![]() |
![]() |
아열대성 기후로 동부지역이 서부보다 온난 다습(연평균 기온 섭씨 17℃) | |
![]() |
1년은 크게 여름(11월-3월)과 겨울(6월-9월)로 나누어지며, 여름과 겨울 사이에 봄, 가을이 짧게 지속됨. | |
![]() |
여름은 우기로 비가 많이 내리며 겨울은 건기로서 강우량이 극히 소량에 불과함. (연평균 강우량 : 드라켄스버그지역 1,500mm로부터 칼라 하리 지역의 100mm까지 분포) | |
![]() |
지역에 따라 기후 차이가 많으나 수도권은 대체로 청량한 기후로 일조시간이 길며 여름은 20℃-30℃ 전후, 겨울은 0℃-20℃의 쾌적한 환경이며, 남단 Cape Town은 지중해성 기후로서 연중 10℃-25℃의 쾌적한 상태를 유지(지역에 따라 겨울은 0℃ 이하로 떨어짐) | |

![]() |
1. 사증(비자) |
![]() |
![]() |
남아공 여행시 주한 남아공 대사관에서 비자(최장 3개월)를 발급 받아 입국 | |
![]() |
1개월 이내 체류시 무사증 입국 가능 | |
![]() |
남아공 유학을 위한 Study Permit 신청시 주한 남아공 대사관에서는 한국-남아공간 편도항공료에 해당 하는 금액을 현금으로 예치할 것을 요구하는 바, 동 금액은 귀국 후 환불받을 수 있음. | |
![]() |
주한 남아공 대사관 주소 1-37 Hannam-dong, Yongsan-gu, Seoul Tel 792-4855 Fax 792-4856 | |
![]() |
2. 식 품 |
![]() |
![]() |
현지 한국식품점 : 요하네스버그에 2개, 프리토리아에 1개 아울러 다수 중국식품점에서도 한국식품과 유사한 식품 구입 가능 단, 가격은 국내 시장가의 약 2.5배정도 | |
![]() |
현지 구입이 어려운 식품 : 거의 전식품을 구할 수 있음. 고추장, 된장 등 기본양념도 현지 구입이 가능하나 품질이 다소 떨어짐. | |
![]() |
3. 건강·의료 | ![]() |
![]() |
남아공은 여타 선진국과 같이 건강진단이라는 제도가 없으므로 건강진단을 원할 경우 한국에서 하는 것이 유리 | |
![]() |
단, 질병 발생시 치료는 의료보험 혜택으로 전액 해결되는 관계상 현지가 유리 | |
![]() |
의료보험료가 상당히 비싼 편임. | |
![]() |
민간의료보험(medical aid) 시스템으로 보험 가입 필요 | |
![]() |
본인부담 보험료(자녀 포함) 약 US$ 200-300(월) : 자녀수, 연령, 보험조건에 따라 다소 상이 | |
![]() |
남아공 의료제도 의약품 구입시 의사처방전 필요 감기 등 사소한 질병의 경우 처방전 불요 | |
![]() |
4. 기후 및 의복 |
![]() |
![]() |
우리 한국인에게는 남아공 겨울에도 오버코트나 바바리코트는 크게 필요하지 않음. (스웨터나 중간 두께의 잠바는 필요) | |
![]() |
속옷을 비롯 대부분 한국에서 사용한 옷은 이곳에서 계절별로 사용가능 (두꺼운 겨울옷은 소량 준비하면 족함) | |
![]() |
춘추복과 하복용 양복을 주로 착용하나 동복이 필요할 정도로 추울 때도 있음. | |
![]() |
겨울 취침시 전기담요와 전기장판이 필요하나 전기장판은 현지판매가 안되므로 장기 체류시 지참 필요 | |
![]() |
5. 이사화물 |
![]() |
![]() |
전기 및 전자제품
| |||||
![]() |
가구, 비품 및 장식품
| |||||
![]() |
자동차 한국과 현지가격 비교(새차 및 중고차) : 새차 및 중고차 2배정도 비싼 편임. | |||||
![]() |
이사화물 탁송 Door to Door 또는 Door to Port 관례 : Door to Door로 한국에서 보내면 자택까지 무리 없이 도착됨.(이사 하역비 별도 지불하나 크게 비싸지 않음) | |||||
![]() |
6. 각종 증명서관계 |
![]() |
![]() |
운전면허증 남아공 입국 전 한국에서 국제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아 입국 후 사용해야 함. 1년 이상 체류시 한국에서 재발급 받거나, 남아공 면허증으로 교환 발급 신청함. | |
![]() |
무사고 운전증명서(보험 가입시 필요여부) : 불요 | |
![]() |
자녀 입학관련 서류 : 신청서 및 여권 사본 제출로 입학 가능 그러나, 일부학교에서는 입학 전(1-2년 기간) 성적증명서제출을 요구하기도 함. (성적증명서 기본사항만 영역, 국내본과 함께 제출) | |

![]() |
1. 주 택 |
![]() |
![]() |
주택사정 : 좋음. | |||||
![]() |
계약방법
| |||||
![]() |
입주시 유의사항 주택 및 가구상태 점검 필요 | |||||
![]() |
계약 종료시 원상회복 관계 : 원상회복 필요
| |||||
![]() |
가구 등 비품 포함 여부 전기오븐, 쿠커 등 기본 가전제품은 주로 부착되어 있음 | |||||
![]() |
주택관련 보험제도 대개 화재보험은 집주인이 가입하며, 도난보험은 세입자가 가입 | |||||
![]() |
2. 식 품 |
![]() |
![]() |
한국식품점
| |||||
![]() |
일본식품 및 중국시장 등 : Pretoria에 중국식품점 1곳 있으며, 일반적인 일본 및 한국식품도 취급 | |||||
![]() |
현지시장 이용 참고사항 Woolworth, Checkers, Hyperama, Pick'n Pay등 대형 슈퍼마켓 체인 이용이 일반적임. | |||||
![]() |
3. 교 육 |
![]() |
![]() |
학제개요 : 7-5-3제, 국민학교 7년, 중中고등학교 5년,대학 -3-4년(전문대 2-3년) | |||||
![]() |
학교현황(교육비 포함)
| |||||
![]() |
학교 선정시 유의사항 영어 사용 여부 | |||||
![]() |
입학절차 T/O가 있을 경우 수시 입학 가능하며, 입학 전 영어 혹은 수학 test후 입학적격여부 판정함. | |||||
![]() |
필요서류
| |||||
![]() |
한글학교
| |||||
![]() |
대학교 남아공의 대입수능시험(Matric, 전국 일제히 실시)에 합격한 후 동결과를 가지고 대학 에 지원 | |||||
![]() |
4. 자동차 |
![]() |
![]() |
구입가격
| |||||
![]() |
구입 소요기간
| |||||
![]() |
운전시 주의사항 영국 또는 일본과 같이 우측핸들 사용으로 인한 적응기간 필요 | |||||
![]() |
5. 이사화물 |
![]() |
![]() |
화물도착 - 운송회사 화주 접촉 - 수령 | |
![]() |
남아공 항에 이사화물 도착 후 배달까지 약 10-15일 소요 | |
![]() |
6. 공 항 |
![]() |
![]() |
공항위치 : 요하네스버그 | |
![]() |
공관과의 거리 : 약 50km(차량편 약 35분 거리) * 공항 내 부대시설이 잘 되어 있으며, 인터콘티넨탈호텔, 홀리데이인 호텔이 인근에 있음. | |
![]() |
7. 쇼 핑 |
![]() |
![]() |
백화점 및 기타 상점(가구, 전자제품 전문점 등)
| |||||
![]() |
개점시간 : 대개 08:00-17:00 단, 일요일은 오후 1시까지 영업 | |||||
![]() |
8. 식 당 |
![]() |
![]() |
현지식당 일반사항 약술(평균식대 포함) 양식, 중국식, 이태리 식당 있으며 평균식대 오찬 US$ 15-20,만찬 US$ 25-30 | |
![]() |
한국식당 관계 약술(평균식대 포함) : 요하네스버그에 2개, 케이프타운에 1개, 식대 US$ 20 내외 | |
![]() |
식당 이용시 참고사항 : 팁 약10%, 와인은 질이 좋고 저렴함. | |
![]() |
9. 호 텔 |
![]() |
![]() |
현지 호텔현황 약술
| |||||
![]() |
10. 관 광 |
![]() |
![]() |
주요 관광지 약술 Cape Town, 크루거 파크(최대 야생사파리공원), 더반, 드라켄스버그, 가든루트,Sun City 등 관광명소 가 많이 있음. | |
![]() |
관광지 유의사항 사파리 수칙 엄수 | |
![]() |
11. 종교활동 |
![]() |
![]() |
한인교회가 요하네스버그 및 프리토리아, 케이프타운, 더반에 소재 | |
![]() |
카톨릭의 경우 평신도 모임이 요하네스버그에 소재 | |
![]() |
원불교 교당 요하네스버그에 소재 | |
![]() |
12. 언론매체 |
![]() |
![]() |
TV, 일간지, 주간지, 기타 학술지 등 | |
![]() |
공용 TV 3개 채널이 있으며 영어, 아프리칸스, 흑인어 등을시간대 별로 방영 | |
![]() |
민간방송의 경우, DS-VT(위성), M-Net, e-TV가 있음. 별도의 위성안테나 설치시 YTN, Arirang, KBS World 시청 가능 | |
![]() |
주요 영자 일간지 10개 | |
![]() |
13. 치안상태 |
![]() |
![]() |
남아공에는 만델라 대통령 집권이전 백인정권시기에 인종차별정책에 반대, 흑인국가 창설을 위해 대정부 투쟁을 하던 테러단체들로부터 나온 무기가완전히 회수되지 않고 일부 불법 유출되어, 동 무기를 이용한 강도단들에 의한 강·절도, 하이재킹 등의 사건이 종종 발생되고 있어 야간에 치안불안 지역 등에 활동을 삼가는 것이 좋음. | |
![]() |
14. 한국대사관 |
![]() |
![]() |
주소 및 연락처 Greenpark Estates Building No.3, 27 George Storrar Drive, Groenkloof, Pretoria, South Africa | |
![]() |
P.O.B : 939, Groenkloof 0027, Pretoria, South Africa | |
![]() |
Internet: www.mofat.go.kr/southafrica | |
![]() |
Emergency Call(off-day): Consul KIM Chang-jin 27-82-716-2098(H.P) | |
![]() |
Time Difference(with Korea): 한국시간이 남아공 시간보다 7시 간 빠름 | |
![]() |
근무시간 : 09:00-12:00, 13:00-17:00(Mon. -Fri) | |
![]() |
긴급상황 발생시 휴무일에도 공관에 전화하면, 직원과 연락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안내 받을 수 있음. | |
![]() |
15. Ambassador's Residence |
![]() |
![]() |
Add: 290 Celliers Street, Muckleneuk, Pretoria, South Africa (P.O.Box 939, Groenkloof 0027, Pretoria, South Africa) | |
![]() |
Tel: (27-12) 341-0099 | |
![]() |
Fax: (27-12) 341-0089 | |
![]() |
16. Consular Jurisdiction |
![]() |
![]() |
South Africa, Angola, Botswana, Madagascar, Lesotho,Namibia, Swaziland | |
![]() |
17. Remarks |
![]() |
![]() |
우편물은 공관, P.O. BOX이용 권장(분실위험 방지) | |
![]() |
관저 앞 우편물 또한 공관 P.O.BOX이용 권장 | |
![]() |
18. 재외동포 현황 |
![]() |
![]() |
약 3,200여명. 주로 요하네스버그(1,300명), 프리토리아(600명), 케이프타운(1,100명), 더반(50명) 및 기타지역에 거주 | |
![]() |
유학생은 500명정도(상당수가 신학 박사과정 전공 및 조기유학,어학연수생) | |
![]() |
19.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|
![]() |
![]() |
대한무역진흥공사(KOTRA) : 3명 | |
![]() |
금호타이어, 기아, (주)대우, 대우중공업, 대우전자, 삼성물산, 삼성전자,LG전자, 제본, PosChrome, 태성유화, 대한전선, TRAPEACE 등 12개 상사 및 현지법인 주재 | |
![]() |
20. 교통·통신·우편제도 |
![]() |
![]() |
교통수단 버스 및 기차 등 약간의 대중교통 수단이 있으나 주로 흑인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외국인은 콜택시를 이용하는 편임.
| |||||
![]() |
통신 및 전화제도
| |||||
![]() |
우편제도
| |||||
![]() |
공공요금 전기, 전화, 수도료 등 공공요금은 한국보다 비싼 편임. | |||||
![]() |
난방시설 없음. | |||||
![]() |
21.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|
![]() |
![]() |
외국인들을 위한 영어강좌가 몇 개 대학에서 개설중임 | |
![]() |
사설 영어학원 있음. | |
![]() |
20. 긴급상황 대처요령 |
![]() |
![]() |
안전수칙내용
| |||||

![]() |
1. 환 전 |
![]() |
![]() |
공항, 은행 및 대형 쇼핑몰에 환전소가 있음. | |
![]() |
환 율 : US$ 1=R 6.4(2004년 10월 현재) | |
![]() |
2. 팁제도 |
![]() |
![]() |
식당의 경우 총금액의 10%정도가 관례화 되어 있음. | |
![]() |
3. 미용 및 이발 |
![]() |
![]() |
Pretoria 및 Johannesburg에 각각 1곳씩 한국인 미용실이 있으며, 현지 미용 이발소도 많이 이용하고있음. | |
![]() |
4. 공휴일(2003년 기준, 매년 다소 변동) |
![]() |
![]() |
4.27 국경일(Freedom Day)등 연 12일이 공휴일이며, 공휴일과 일요일이 겹치는 경우 월요일이 공휴일이 됨. | |
![]() |
5. 인터넷 사용환경 |
![]() |
![]() |
인터넷은 모뎀(56K), ISDN(64K) 사용 가능함. | |
![]() |
일부지역에서 ADSL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으나 속도가 빠르지 않음. | |
![]() |
6. 한국과의 시차 |
![]() |
![]() |
GMT+2 (한국시간보다 7시간이 늦음) | |
![]() |
7.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|
![]() |
![]() |
한국신문 구독 불가능 (인터넷 또는 연합뉴스, 아리랑 TV 등을 통해 한국뉴스를 접함) | |
![]() |
8.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|
![]() |
![]() |
우체국
| |||||
![]() |
은행
| |||||
![]() |
행정부처 : 각 부처마다 자율시행하며, 토中일요일은 휴무
| |||||
![]() |
쇼핑센터 내 가게 대개 주중(월-금)과 토요일에는 09:00-17:00, 일요일에는09:00-13:00 | |||||
![]() |
대형 수퍼마켓 체인은 체인점별 지역별로 다르나 대체로 다음과 같이 영업함.
| |||||
![]() |
Seven Eleven(남아공 편의점 체인) 07:00 - 23:00 : 월 - 일 | |||||
![]() |
Cafe의 대체적인 영업시간 07:00 - 20:00 : 월 - 일 | |||||
![]() |
CNA(남아공 문구점 체인) 문구류, 서적, 컴퓨터 부품, 음반, 장난감, 비데오 테이프, 필름등의 구입 및 사진현상中인화 가능. 문구류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가이며 최신 국제서적도 다양하지 않음. 영업시간은 체인점마다 다르나 보통 08:00 - 21:00 : 월 - 토 09:00 - 19:00 : 일 | |||||
![]() |
박물관 대개 09:00-17:00(월-토), 11:00-17:00(일)임 | |||||
![]() |
9. 전력사용 현황 |
![]() |
![]() |
현지 전기시스템 : 220V-250V/50Hz | |
![]() |
110V용 전압 강하기 현지 구입은 쉽지 않음 | |
![]() |
전기 공급상태가 불안정할 때가 많아 정밀전자제품에는 UPS 사용 | |
![]() |
10. 기타 참고 사항 |
![]() |
![]() |
현지 기후여건상 풍토병 등 건강 유의사항
| |||||
![]() |
말라리아 창궐지역 여행 후 고열 등 이상 증세가 있을시 반드시 말라리아 창궐지역에 있었음을 의사에게 이야기하여야 회복 가능. 그렇지 않을 경우 병의 원인을 못 찾아 사망하는 경우도 있음. |
출처 : 해 외 이 사 전 문 기 업
글쓴이 : 조양해운 원글보기
메모 :